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관련주3

로봇섹터의 산업개념 안녕하세요 쭈부자입니다. 오늘은 로봇섹터의 주요 개념과 이를 구성하는 핵심요소들로 인지, 판단, 구동으로 나뉘며 로봇섹터는 크게 센서(인지), 제어장치(판단), 구동시스템(구동)으로 각요소는 로봇이 자율적인 작동을 하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로봇섹터의 주요 개념과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 각각의 핵심요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로봇센서 (인지) 로봇센서는 로봇이 환경을 인지하고 상호작용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있으며 이들은 로봇이 주어진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비전센서는 이미지를 캡처하여 분석하고 초음파센서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이러한 센서들은 로봇이 주변 환경을 잘 이해하고 적절한 결정을 내리는데 중요한 역할들을 담당합.. 2024. 5. 23.
TSMC고객사를 둔 한국 반도체 소부장 업체 안녕하세요 ~ 쭈부자입니다. 오늘은 TSMC를 고객사로 둔 한국 반도체 소부장 업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부장: 소재, 부품, 장비의 줄임말)TSMC기업은? TSMC는 대만의 반도체 제조 기업으로 파운드리 분야에서 세계 1위를 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설계전문(팹리스) 기업에게 설계도를 받아 반도체를 위탁생산 하는 기업으로 애플, 퀄컴, 엔비디아, AMD 등이 있으며 한국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경쟁기업이기도 합니다. 한국의 소부장 업체도 글로벌화가 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기도 합니다. TSMC를 고객사로 둔 한국 반도체 소부장 업체HPSP (장비) HPSP는 저온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를 독점으로 납품하고 있으며 비메모리 매출 비중은 70%와 TSMC 매출 비중이 30%입니다. T.. 2024. 4. 11.
반도체 유리기판 장단점 그리고 관련 섹터 안녕하세요 쭈부자입니다. 디지털 혁명 세대를 맞이해 인공지능을 가지고 있는 국가와 기업이 세계를 제패할 수 있는 상황에 기술 패권시대에 반도체 경쟁은 더 심화되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그 자체로만 완전한 성능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패키징이 이뤄져야 하고 과거 실리콘 반도체가 인공지능 컴퓨팅의 성능을 좌우했다면 지금은 GPU나 D램을 어떻게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연결하느냐가 관건이기 때문에 패키징이 반도체 시스템의 성능을 좌우한다 볼 수 있습니다. 그중 글라스(Glass) 기판이 강력한 우수한 후보로 지목받고 있어 유리기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반도체 글라스(유리) 기판 이란? 기판의 소재는 15~20년 주기로 변화해 왔으며 1970년 리드프레임에서 1990년대 세라믹소재를 거쳐 2000년대 유리기판 변화.. 2024.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