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쭈부자입니다.
여러분들은 ETF거래가 종목 거래보다 안전하다는 것을 알고 계실 겁니다.
하지만 ETF를 거래할 때 교육을 받아야 거래가 가능하다는 증권사 팝업이 나온 걸 보셨을 텐데 교육이수방법과 거래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란???

ETF(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불리며, 특정 지수나 자산의 가격 움직음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펀드의 일종이며 주식,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을 기초로 만들어지며,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어 일반 주식처럼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ETF가 안정성을 주는 투자로 인식이 되는데 예를 들어 반도체나 2차 전지 같은 종목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펀드멘탈이 흔들릴 수도 있지만 ETF는 포트폴리오 안의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일반 펀드에 비해 수수료가 저렴하며 운용내역이 공개되어 있어 투자자는 자신이 투자한 ETF의 운용 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중 지수를 추종하는 파생형 ETF는 레버리지와 인버스가 있는데 레버리지 ETF는 지수의 상승을 인버스 ETF는 지수의 하락을 예측하며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KODEX레버리지, KODEX선물인버스가 있으며 KODEX선물인버스 2X는 일반 상품에 비해 2배의 수익을 줄 수 있지만 반대로 2배의 손실을 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섹터와 산업군에 따른 분류로 바이오, 자동차, 반도체, 로봇, AI 등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섹터별 종목들을 한 군데로 묶어 평균화한 섹터도 있으며 원자재 ETF는 금, 은, 구리, 리튬, 원유, 가스등 이 있습니다.
또한 ETF의 명칭이 KODEX, ACE, TIGER 등의 명칭이 있는데 이것은 운용사의 이름을 말하는 것이며 KODEX는 삼성자산운용, TIGER은 미래에셋자산운용, KINDEX는 한국투자신탁운용, KB STAR은 KB자산운용, KOSEF는 키움자산운용, ACE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을 뜻합니다.
또한 ETF 상품이름에 (합성), (H), (TR)의 표기가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기본 ETF는 상장된 주식의 지수만 추종하지만 (합성)이 붙은 상품은 장외파생상품까지 포함운용 된다는 뜻이며 (H)는 환헤지형 상품을 뜻하는 말로 외국지수를 추종하는 경우, 환율의 영향에 따라 환차익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이라는 뜻이며 (TR)이 붙은 상품은 TOTAL RETURN의 약자로 ETF 운용 중에 발생하는 배당금 등의 분배금을 돌려주는 방식이 아닌 자동으로 재투자를 하는 것을 뜻합니다.
ETF 거래를 위한 교육 이수방법

ETF거래의 첫 시작은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먼저 금융투자 교육원 홈페이지 https://www.kifin.or.kr/ 를통해 회원가입을 하고
레버리지 ETF.ETN 투자자 사전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비용은 3,000원이 들고 교육내용은 레버리지와 인버스투자의 개념과 ETF투자와 관련된 투자자의 적격성 확인을 위한 의무 과정과 복리효과 그리고 투자의 위험성과 유의사항 올바른 투자접근에 대한 내용을 알아볼 수 있으며 대략 1시간 내외의 동영상 교육을 이수하면 됩니다.
이수가 완료되면 30분~1시간 이후 수료증이 나오게 됩니다.
ETF 증권사 등록하는 방법

수료증이 나오면 수료증 위에 교육이수번호가 있으며 이수번호를 본인이 사용하는 각 증권사(MTS, HTS)에 등록을 해야 하는데 대부분 증권사 메뉴는 비슷하기 때문에 검색에 메뉴 - 파생 ETF/ETP거래신청 - 교육이수번호입력 이후 검증을 눌러주시면 간단하게 등록이 가능합니다.
'주식 재테크 - Stock > 주식 기본기 - Stock ba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주와 우선주의 뜻 (0) | 2024.04.14 |
---|---|
각 증권사 MTS에 매매내역 표시 하는 방법 (0) | 2024.04.14 |
공매도 란? (0) | 2024.04.12 |
금융투자소득세 란?? (2) | 2024.04.06 |
파킹형 ETF (0) | 202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