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쭈부자입니다.
여러분들은 투자하는 회사에 공시나 뉴스를 잘 보시는 편인가요??
공시를 보면 가끔 CW, BW발행이라는 내용을 보신적이있을실텐데 오늘은 CB와 BW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B 란?
CB란 (Convertible Bond - 주식으로 전환 가능한 사채) 전환사채를 말하며 채권을 발행한 기업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을 말하며 주식으로 전환하기 전에는 채권으로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주식으로 전환한 후에 주식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CB를 발행하는 목적은 전환사채는 부채로 인식되며 주식으로 전환될 경우 자본으로 전환되어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으며 주가 상승 시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여 이익을 챙길 수 있으며 가장 큰 목적으로 원활한 자금조달을 목적을 두고 있으며 대주주는 낮은 가격으로 전환사채를 통해 지분율을 높일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목적에 의해 악재와 호재로 나뉘게 되며 기업이 자금조달을 통해 신사업 투자 같은 성장을 위 한 목적이나 채권발행을 통해 기업의 신용상승의 목적과 낮은 금리로 발행할 경우 기업의 이자비용감소효과로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고 주가가 상승할 경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면 호재로 작용될 수 있으나 반대로 기업의 부채가 증가되어 재무 부담이 있는 경우와 높은 금리로 발행한 경우 기업의 이자비용이 증가되어 수익성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며 가장 큰 문제는 기존 주주의 지분율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주가하락으로 손실이 발생될 경우 악재로 받아 들일수 있습니다.
BW 란?
BW란 (Bond with Warrant - 신주를 한인 된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옵션으로 붙은 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말하며 채권을 발행한 기업의 주식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을 말하며 주식을 인수하기 전에 채권으로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주식을 인수한 후에 주식으로서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BW를 발행하는 목적은 자금조탈을 통해 기업의 주식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며 BW 여기 부채지만 주식을 인수할 경우 자본으로 전환되어 재무구조적 개선을 할 수 있으며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여 이익을 높일 수 있습니다.
M&A 같은 기업 인수과정에 인수기업이 자금조달을 하기 위해 발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회사의 재무상태가 괜챃은지 또는 어떤 사업성장을 위해 BW를 발행했는지에 대해 이유를 찾아봐야 합니다.
CB.BW 확인하는 방법과 악재? 호재?
CB와 BW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다트공시(https://dart.fss.or.kr/)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회사의 최근 분기나 반기보고서, 사업보고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재무에 관한 사항 중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관한 내용을 보면 증자현황, 발행일과 만기일, 전환청구가능 기간과 전환가액, 자금사용내역등을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주들에겐 악재로 받아들이는데 주식수가 늘어나 주식가치가 희석되고 CB나 BW는 보통 은행 대출보다 낮은 금리로 발행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선 적은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지만 반대로 은행 대출이 어려워 신용이나 재무가 좋지 않은 기업의 입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장 돈이 없고 신용도가 낮은 회사가 공장을 짓거나 투자목적으로 발행하는 것은 호재기 때문에 회사의 미래 기술력이 실제 매출로 이어질지를 잘 체크해야 합니다.
'주식 재테크 - Stock > 주식 기본기 - Stock ba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주(IPO) 청약 이란? (1) | 2024.05.18 |
---|---|
유상증자,무상증자,유상감자,무상감자의 개념 (0) | 2024.05.10 |
배당주와 우선주의 뜻 (0) | 2024.04.14 |
각 증권사 MTS에 매매내역 표시 하는 방법 (0) | 2024.04.14 |
ETF 란? (ETF 교육 이수 방법) (0) | 2024.04.14 |